-
예수님의 자취를 따른다는 것(벧전 1:3-7)
성경을 자세히 살펴보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방식이 여러가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모세처럼 하나님 말씀을 율법처럼 수여하는 모세오경이 있고, 이스라엘 역사에서 하나님의 역사를 드러내주는 역사가들의 책이 있고, 지혜의 눈으로 삶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밝혀주는 성문서도 있고, 하나님의 마음으로 하나님을 등진 세상을 향해 소리지르는 예언자들도 있음을 봅니다. B.C 587년에 유다가 멸망하면서 그 땅에 살던 하나님의 선민이었던 이스라엘인들, 아니 유대인들은 그때로부터 신약시대가 될때가지 나라가 없는 민족으로 온 세상으로 흩어집니다. 그 중에 소아시아, 지금의 터키 지역으로 어찌어찌하여 가게 된 디아스포라 유대인들, 그 땅에서 살지만 국적도 없이 나그네처럼, 사회적 약자로 살아가는 유대인들이 있었는..
2022.05.15
-
영광과 평화(종려주일)
예수님이 오시기 160여년 전 유대 땅의 사회 상황 1) 짧은 독립 기간을 제외하고 500여년간 외세의 지배와 수탈을 당하던 땅, 이스라엘 2) 헬레니즘 이전에는 주로 경제적인 수탈이었지만, 3) 헬레니즘 이후로는 종교의 영역까지 박해가 일어나던 상황 4) 마카비 가문의 항쟁을 통해 잠시간 독립국이 되었으나, 5) 다시 로마의 속국이 되었고, 에돔인었던 헤롯이 로마의 앞잡이로 이스라엘 땅을 지배 종교적인 박해(유대교금지), 경제적인 수탈(세금)로 인해 민심에 불만이 팽배하던 시기 등장하는 예언자 또는 메시아 1) 드다(행 5:36), 광야에서 사람들을 모아서 요단강으로 몰려옴, 그는 요단강을 가르는 기적을 행한다고 사람들을 선동함, 로마 군대의 공격을 받아 많은 사람이 죽었고, 드다는 포로로 잡혀가 예루..
2022.05.15
-
신앙은 경험만큼 성장한다.(욥 42장)
욥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로 사탄도 하나님도 인정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욥은 소유물과 종이 많은 사람이었고,동방 사람 중에 가장 훌륭했으며, 아들 일곱과 딸 셋을 둔 사람입니다. 그는 생일 잔치를 할 때마다 잔치를 끝내면 혹시 자녀들이 죄를 범하였을까하여 번제로 성결하게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삶에 커다란 재난이 닥쳤을 때도 훌륭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사탄의 계략으로 그 많던 재산을 잃었을 때에도, 심지어 자녀들을 잃었을 때에도 하나님을 원망하지 않았습니다.여기에 더하여 사탄이 몸을 쳐서 큰 병이 나자 아내가 버림받은 인생이라고 조롱했을 때에도 그는 입술로 하나님께 범죄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엄청난 고난 중에도 믿음을 잃지 않는 믿음의 모델로서 욥이라는 인물을 기록한..
2021.11.13
-
삶에 파장을 일으키실 때(창 22장)
아브라함은 이제 130여세(추측)가 된 노년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그는 75살에 하나님(여호와)의 부름을 따라 나섰지요. 그리고 그로부터 25년후인 100살에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아들 이삭을 얻게 됩니다. 성경에 기록된 아브라함의 중요한 이야기들은 대부분 이 시기, 75살에서 100살까지의 시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부름을 따라 나선 나그네 여정의 치열한 삶을 살았던 아브라함은 100살에 이삭을 얻은 후에는 좀 여유로워 보입니다. 아들 이삭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그와 그 후손에게 하셨던 약속을 믿고 하나님을 따르는 삶을 살았을 것입니다. 이제 더 이상 시험거리도 걱정거리도 없었겠지요. 평생 불임으로 살던 아내 사라도 90살에 얻은 아들 이삭을 아끼며, 잘 양육하면서 행복한 시절을 보내고 있..
2021.11.13
-
창세기 8장 - 은총의 시작 - 하나님이 기억하심
창세기 8장 - 은총의 시작 - 하나님이 기억하심 오늘 본문의 이야기를 먼저 묵상해 봅니다. 1. 온 세상을 집어 삼킨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노아의 형편 본문에 노아가 처한 상황을 상상해 봅니다. 그는 대홍수 물결로 온 세상이 멸망당하는 중에 집안 식구와 살아 남았지만, 그가 처한 상황은 사실 공포스럽고, 절망적이며, 애통스러운 상황입니다. 노아가 공포를 느끼는 이유는 그의 방주는 여전히 온 세상을 덮어 버린 움직이는 검은 물 위에 떠 있다는 것이고, 그가 절망적인 이유는 이 상황이 언제 끝날는지 어디로 가야할 지 아무 것도 모른다는 것에서 기인합니다. 그뿐 아니라 홍수가 나기 전 함께 살았던 모든 이들이 죽었다는 사실이 그의 마음을 무겁게 내리 누르는 슬픔이 되었을 것입니다. 노아가 상황을 유추해 볼 수..
2019.02.13
-
창세기 6-7장 문을 닫으신 여호와 하나님
창세기 6-7장 문을 닫으신 여호와 하나님 노아 시대에 홍수로 온 인류가 멸망했다는 이 끔찍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가 생각해 보는 것은 이렇습니다. 1. 나는 노아 방주에 들어 가는 쪽일까? 아니면 멸망당하는 쪽일까요?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2. 노아와 그의 가족은 과연 의로운 존재라서 방주에 탔을까요? 성경은 노아는 의롭고, 흠이 없고,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이었다고 말하지만, 그의 아내와 아들과 며느리에들에 대해서는 이런 조건을 전혀 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들이 방주에 탈 수 있었던 것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아는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특별한 의로움과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삶이었지만, 노아도 여호와께 은혜를 입은 자라고 기록하는 이유 역시 노아의 의로움만이 구원의 ..
2019.02.13
-
창세기 5-6장 - 통제받음의 영성
창 6:1-12, 통제받음의 영성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도덕 기준을 따르기는 것 보다 개인의 권리가 우선되는 사회이다 보니, 개인(소수)의 특정한 상황(경험, 성향, 비록 그것이 일반 관습적인 사회와 어긋나는 것일지라도)도 존중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강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남녀간의 결혼과 성적인 문제(폴리아모리-다자간 연애 등)에 이런 경향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 이런 현실에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동시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면은 그동안 소외되었던 이들이 권리를 주장하거나 누릴 수 있다는 것이고, 부정적인 면은 사회 전체를 관통하는 보편타당한 도덕과 관습이 무시되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들은 특히 이런 현상에 대해 우려하며 반대하는 기독교에 대해 반감이 큰데, 어떤 이들..
2019.02.01
-
창 4장 - “하나님이 주신 선택 앞에 놓인 불완전한 인간”
창 4장 - 가인과 아벨 이야기 “하나님이 주신 선택 앞에 놓인 불완전한 인간” 창 2-3장에 기록된 선악과는 아담과 하와에게 주신 선택을 할 권리를 말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선택은 두 가지 조건에 의해 강요되어지는데, 하나는 하나님(하나님의 말씀, 법)이고, 다른 하나는 유혹(자아, 물질, 세상)입니다. 아담과 하와는 거절할 수도 취할 수도 있는 선택의 권리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아는대로 그들은 유혹을 따라 취하는 것을 선택했고, 그 결과는 하나님과의 관계 단절과 추방된 삶이라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한 선택의 결과로 에덴을 잃었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주신 최상의 조건에서 살아가던 삶은 잃어 버렸다는 것이고, 또한 저주 받은 세상에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창세기 4장은 두..
2019.01.23
-
창세기 3장 : 하나님의 마음
창세기 3장 : 하나님의 마음 창세기 3장은 하나님께서 불완전한 인간을 어떻게 대하시는가 하는 성찰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볼 수 있습니다. 선악과 이야기가 아니라도, 사람은 호기심에 의해서든 욕망에 의해서든 실수를 하고, 죄를 짓고, 넘어설 수 없는 것을 탐하는 그런 불완전한 존재입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불안전한 존재로 스스로의 한계를 알면서도, 그 한계에 머무르지 못하는 이중성의 욕망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대한 적절할 표현을 한 이가 바울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사로잡는 것을 보는도다 오..
2019.01.14
-
창세기 2장 - 선악과와 예수 그리스도
2019. 01. 06 창세기 2장은 4절부터는 1장 천지 창조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사람을 창조하시는 이야기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봅니다. 그 자세한 설명 안에는 흙으로 만드는 인간 이야기와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아는 나무가 있는 에덴동산과 남자를 돕는 존재인 여자를 창조하시는 일에 대해 전합니다. 2장의 이야기 중에서 살펴볼 이야기는 에덴 동산과 선악과 이야기입니다. 에덴동산과 선악과 이야기는 역사적으로 증명될 수 없는 이야기로 그 이야기가 품고 있는 의미를 살펴 보고자 합니다. 창 2:8-17 / 선악과와 예수 그리스도 에덴동산 이야기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겠지만, 하나님께서 만드시고 보시기 좋았던 세상의 축소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에덴 동산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보기에 좋고 질서가 잡힌 ..
2019.01.08
-
창세기 1장 - 하나님 형상 회복하기
성소교회는 2019년에 창세기를 읽고 배웁니다. 2018.12.30 창세기를 읽고 배우기 전에 창세기는 전체 50장으로 1-11장은 원역사, 12-50장은 족장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원역사인 창세기 1-11장은 대홍수로 사라진 첫번째 세상과 그 역사를 회상하는 이야기이로, 전해오는 전승을 기초로하여 신앙적인 관점에서 쓰여진 이야기입니다. 창세기 1장에서 배우는 교훈은? 창 1장은 하나님께서 행하신 6일 간의 창조와 하루의 안식을 전해줍니다. 창세기 1장에서 묵상해 볼 수 있는 이야기는 "하나님의 형상"과 "보시기에 좋았더라"라는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형상이란? 하나님의 형상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만, 가장 근본적으로 부여해 볼 수 있는 하나님의 형상이란 하나님께서 자신을 기억하도록..
2019.01.08